본문 바로가기
강박사의 토목이야기

현장타설말뚝 시공관리지침

by VanCorte 2023. 4. 6.
반응형

현장타설 말뚝
RCD 거치

 

 

 

O 장비 투입 및 준비 작업


1) 일반사항

공사지점과 인근 중요 시설물의 위치, 표고, 기준점 및 중심선의 설정에 필요한 측점 측량은 감독관이 실시하고, 그 제원을 도급자에게 제공한다.

도급자는 측량지점이 유실되지 않도록 말뚝 등을 설치하여 공사 완료 시까지 보존하고 필요시 인조점을 설치하여 측량점의 위치를 정확히 찾아내도록 한다.

측량 지점에 대해 기존이나 가시설물의 의해 공사 수행이 곤란한 경우 감독관에게 즉시 보고하고, 감독관의 승인하에 시공에 영향이 없는 지점과 방향으로 재측량하여 시공한다.

 

2) 장비 투입 및 준비

장비 운반 시 현장까지의 도로 여건, 도로 교통관계 등을 고려하여 운송한다.

작업장은 대형장비의 이동 및 작업, 부품(CASING) 및 철근망 등의 적치가 가능한 공간을 확보한다.

장비의 진입도로는 지반의 침하 등을 고려하여 현장여건에 따라 준비한다.

 

천공장비 반입
천공장비 반입

 

RCD 비트
RCD 비트
오실레이터
오실레이터

 

 

3) 굴착장비 이동 및 설치

작업장은 평탄화 작업을 실시하고 연약한 지반은 없는지 확인한다.

기계를 수평으로 하여 말뚝 중심에 설치한다.

구조물이 인접되어 있는 경우 굴착토의 배토방향을 고려하여 기계를 설치한다.

지반이 불안정하여 작업 중 기계가 기울어져 말뚝이 경사지 거나 편심을 받을 우려가 있으며, 특히 CASING TUBE 인발반력에 따른 설치지반의 지내력이 부족할 경우에는 복공판등으로 보강할 필요가 있다.

수평 정도와 수직 정도를 위해서는 초기에 기계를 바르게 설치하는 일과 정확한 말뚝중심과 굴착중심을 일치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O 굴착 작업


1) BG 굴착

BG-30에 의한 굴착은 별도의 OSCILLATOR의 설치 없이 CASING의 압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굴착시간을 절감 할 수 있고, 장비의 이동 거치도 자주식인 관계로 타공법에 비해 매우 용이하다.

장비 자체에 장착된 모니터 상에 굴착심도 및 수직도가 나타나기 때문에 시공품질면에서 탁월하다.

KELLY BAR TYPEROD에 장착된 BUCKET의 사용으로 굴착토 공외 반출 및 굴착시간이 타공법에 비해 매우 절감된다.

유압에 의한 회전력으로 굴착하기 때문에 기존의 HAMMER GRAB에 의한 굴착보다 진동 및 소음발생이 적다.

 

BG 굴착
BG 굴착

 

 

 

2) RCD 굴착

① CASING은 하부에 SHOE가 설치된 CASING을 사용하고 요동압입장치(OSSCILLATOR)로 설치하며, CASING내 굴착은 크레인에 HAMMER GRAB를 조합하여 굴착한다. 미고결 지층에서는 굴착보 CASING내 선 압입 되도록 한다.
② ALL CASING 설치시에 수직도를 확인한다.
③ ALL CASING 시공심도는 공벽붕괴 우려가 없는 지반까지로 한다.
④ ALL CASING 굴착이 완료되면 R.C.D RIG을 CASING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하고 R.C.D ROD와 COLUMN CENTER가 일치하는지를 점검한다.
⑤ Casing의 연결은 1 TON마다 이어나가며, 연결작업 시 Casing의 회전이 안되도록 안전조치를 강구한다.
⑥ CASING내에 청수를 충만 시키고 R.C.D로 굴착하며, 굴착속도, 심도, 지층확인을 계속하면서 소요 심도까지 굴착한다.
⑦ 굴착하는 지층이 모래, 사력층으로 수두가 큰 지하수가 있을 때에는 Boilling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피압수두에 상당하는 이상의 공내수심을 확보하거나, Casing tube를 충분히 근입 시킨다.
⑧ 현장타설말뚝이 놓이는 선단부의 지층은 Casing tube의 굴삭날로 잘라낸 그대로를 Hammer grab로 들어내어 검사, 확인한다.
⑨ 굴착이 완료된 상태에서 청수를 공급하면서 R.C.D 장비에 의한 SUCTION과 AIR LIFTING으로 SLIME를 제거한다.

 

RCD 굴착
RCD 굴착

 

그라브 작업
그라브 작업

 

 

 

O 시공관리 사항


1) 시공관리 사항

N값이 04정도로 대단히 연약한 사질토 및 실트 섞인 사질토에서는 케이싱튜브 주 변의 흙이 연약화 되어 설계단면보다 크게 굴착되는 수가 있다.

피트층등 극히 연약한 지반을 굴착할 때는 케이싱 튜브가 자중에 의해 침하할 수 있다.

모래층이나 자갈층 등 붕괴성이 있는 지반에서는 굴착 중 케이싱 튜브의 상하운동에 대해 충분히 유의를 하고 일반적으로 회전요동 운동만을 한다.

공내수위가 지하수위보다 낮아지면 케이싱 튜브주위의 토사가 교란될 수 있다.

깊은 곳에 있는 모래층 및 자갈층에는 수두가 큰 피압지하수가 존재하는 경우가 많은 데 이때 상부에 불투수성이 있는 경우에는 보일링현상이 일어나기 쉽다.

지하수위 아래에 두께가 5m이상인 세사층이 있는 지반에서는 요동운동에 의해 세사 층이 다짐되어 케이싱 튜브의 인발이 곤란하게 되는 수가 많다.

구조물에 조립해서 시공하는 경우 시공 시 근접된 구조물에 주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 햄머그래브가 케이싱 튜브의 선단보다 앞서는 것은 피해야 한다.

케이싱 튜브의 연결상태가 나쁜 경우, 요동, 삽입, 인발작업시 연결부가 분리되어 작 업이 불가능하게 되는 수가 있으므로 연결핀을 점검함과 동시에 핀을 조여야 한다.

말뚝선단지반의 연약화

본 공법에 있어서 연약화의 원인은 굴착에 의한 지반응력의 해방, 햄머그래브의 충격, 그리고 보일링현상이며 이에 대한 대책으로 굴착 중 항상 공내의 수위를 지하수위 보다 높게 유지하여 보일링을 방지하고 단단한 지층을 굴착할 때는 햄머그래브에 의한 선단 지반파괴를 줄이기 위해 낙하고를 낮추어 가볍게 부수고 굴착 후 이완된 지반에 약액을 주입하여 보강할 수 있다.

말뚝주변지반의 연약화

주변지반연약화의 원인은 컷팅에지의 외경과 케이싱 튜브의 외경과 차이에 의한 공 극, 느슨한 모래지반에서 굴착서 간극수압상승에 의한 유효응력의 감소이다. 이와 같이 주변지반의 연약화는 굴착기구의 구조적인 문제이므로 특별한 대책은 없고 단지 굴착 시 충격이나 진동을 적게 하는 수밖에 없다.

공벽의 붕괴

본 공법은 전 구간에 걸쳐 케이싱 튜브를 사용하므로 공벽이 붕괴되는 경우는 거의 없으나 케이싱 튜브의 삽입보다 굴착이 선행할 때 과도한 선행굴착을 금하고 항상 케이싱 튜브의 삽입깊이와 굴착깊이에 주의하여 지질에 따른 적절한 간격을 유지해야 한 다.

천공시 CASING내부의 토사는 해머그래브로 제거하되 CASING의 연직도를 검측하여 허용범위를 벗어나면 조정하면서 작업을 진행하고, 말뚝의 평면상 최대편차는 7.5cm, 경사는 말뚝길이의 1%이내 이어야 한다. 또한 천공 시 벤토나이트 등 공벽보호를 위한 약액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2) 재료

철근은 KS D 3504, SD 30A SD 40에 의한 이형철근 또는 동등이상의 것을 사용한다.

콘크리트는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를 사용하며, 28일 설계압축강도 240kg/cm2(호친강도 300kg/cm2), 굵은 골재 최대치수는 25mm, 슬럼프치는 8cm를 표준으로 한다. , 콘크리 트 펌프를 이용할 때의 슬럼프 치는15cm로 한다.

레미콘에 초기강도의 상승 및 조건에 따라 혼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3) 슬라임 처리

슬라임의 발생

바닥청소의 대상인 슬라임은 굴착되는 토사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굴착중 지상으 로 배출되지 않고 구멍바닥에 퇴적되어 잔류하고 잇는 것으로 구멍 내의 물에 부유하 고 있는 미립자가 굴착정지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서서히 공저에 침전하는 것도 있고, 다른 작업시 공벽으로부터 작은 토사입자가 떨어져 바닥에 쌓인 것도 있다.

② 슬라임에 의한 폐해

구멍바닥에 슬라임이 있는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말뚝의 지지력은 극히 작아지게 되어 신뢰할 수 없는 말뚝이 된다.

 일반 바닥청소

슬라임 제거방법은 굴착완료 후 철근 케이지 설치전에 하는 일반 바닥청소(1차처리) 와 콘크리트타설 직전에 하는 특수바닥청소(2차처리)로 구분된다.

특수 바닥청소

공정으로는 일반바닥청소 뒤에 계속된다. 철근과 트레미관의 삽입 작업 중에 공벽에서 떨어진 흙덩어리나 일반바닥청소 후 다시 침전된 것을 콘크리트 타설 직전에 처리하 기 위해서 특수 바닥청소를 하며 다음과 같은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Air Lift 공법

압력수를 구멍바닥에 분사하면서 압축공기를 트레미관 하부에서 내보내 트레미관 내 외의 수압차에 의해 구멍바닥 부근의 슬라임을 밖으로 배출시킨다.

Water Jet 공법

트레미관 선단에 젯트 분사장치가 있어 콘크리트 타설 직전에 맑은 물을 분사해 공저의 슬라임을 안정액 중에 부유시키고 이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 한다.. 심도와 급수압 력의 관계, 트레미관이 공저에 확실히 도달했는지, 분사관의 패쇄여부 등에 유의해야 한다.

 

공내 써징작업

 

4) 철근망 제작 및 설치

철근은 KS D 3504, SD 30A SD 40에 의한 이형철근 또는 동등이상의 것을 사용한다.

철근망 제작시 망의 원형도 및 직선도를 정확히 유지하여 제작한다.

철근망 삽입시 상.하의 철근망이 수직으로 접속되어야 하며, 망이 휘지 않도록 주의한다.

수직철근 이음은 겹이음으로 하며 겹이음은 U볼트체결로 하고, 횡철근의 이음은 가부 착용접(Tack Weiding)으로 하며 이음의 양단은 반드시 용접되어 철근망의 근입시 철근망에 변형이 발생치 않도록 하여야 하며, 이동 및 근입시 장비를 사용할 수 있도록 고리를 설치한다.

철근망의 이음은 결속선에 의한 겹이음을 원칙으로 하며, 철근망이 장척일 경우, 철근 자중에 의해 미끄러져 내려갈 수 있으므로 전기용접등으로 병용할 수 있다.

모든 철근의 겹이음은 어떠한 단면에서도 50%가 넘지 않도록 엇갈리게 두어야한다. 이때 최소 겹이음 길이는 설계도면에 준해야 한다..

콘크리트 타설 후 케이싱을 인발 할 때 철근 조립상태가 불량할 경우 변형되거나 케이 싱에 밀착된 콘크리트와 같이 따라 올라올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철근망을 견고하 게 조립한다.

철근망 조립 시 음파시험(Sonic Test)용 튜브를 철근망 내부에 정사각형 위치로 단단하게 고정시킨다.

케이싱과 철근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간격재는 철근길이 2m마다 4개이상 설치한 다.

조립된 철근의 정사각형 위치에 수직으로 부착하는 탄소강으로 된 직경 5cm의 철근 길이와 동일한 음파시험용 튜브 하부를 강재캡으로 막고 물을 채우며,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상부도 뚜껑을 덮는다.

 

철근망 제작
철근망 제작

 

철근망 검측
철근망 제작

 

 

 

철근망 겹이음
철근망 겹이음

 

5) 콘크리트 타설

콘크리트는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를 사용하며, 28일 설계압축강도 240kg/cm2(호친강도 300kg/cm2), 굵은 골재 최대치수는 25mm, 슬럼프치는 8cm를 표준으로 한다. , 콘크리 트 펌프를 이용할 때의 슬럼프치는 15cm로 한다.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의 수중 콘크리트 시공에 준한다.

콘크리트 치기는 트레미관을 이용하며, 재료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한다.

콘크리트는 연속적으로 투입되어야 하며 Casing tube의 선단은 항상 공내 콘크리트 표면보다 1m 이상 밑에 들어가 있도록 하며, 트레미관은 콘크리트 표면에서 2m 이상 의 깊이로 유지한다.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된 말뚝두부의 표고는 설계치와 일치하여야 한다.

 

트레미관 근입
트레미관 근입

 

콘크리트 타설
콘크리트 타설

 

6) 두부 정리 및 잔토처리

터파기 후 항투불량부는 Concrete breaker등으로 깨어나고, Footing 정착근을 정확하게 노출시킨다.

트레미관에 의한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일부 슬라임과 레이턴스가 말뚝두부에 형성되 므로 콘크리트 타설시에 설계높이보다 50CM정도 높게 타설 한다..

굴착토의 잔토처리는 현장 여건을 감안하여 신속히 처리되도록 한다.

 

파일두부정리(1)
파일두부정리(1)

 

 

파일두부정리(2)
파일두부정리(2)

 

7) 건전도시험(소닉테스트)

현장타설말뚝의 시공 시 탐사관(Sonic Guide Pipe)를 시공하여 pipe간의 sonic logging을 통하여 아래 사항을 말뚝의 결함을 유무를 시험

- 다수 기포발생 (Honeycombing)

- 말뚝재료분리 (Segregation of concrete)

- 지하수 (흐름)에 의한 시멘트 확산 또는 희석

(Washout of cement due to groundwater flow)

- 말뚝재료 수축에 의한 균열 (Cracks in pile shafts due to shrinkage)

- 이물질 함유 (Inclusion of foreign material causing contamination of concrete)

- 부분적인 단면 증가 또는 감소 (Necking and arching after collapse of side walls during withdrawal of temporary liners)

 

건전도시험(1)
건전도시험(1)

 

건전도시험(2)
건전도시험(2)

 

건전도시험 모식도
건전도시험 모식도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