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박사의 토목이야기

단계양수시험 우물상수 산정방법

by VanCorte 2025. 6. 17.
반응형

양수시험
양수 시험

 

 

 

 

O 단계양수시험 우물상수 산정


단계 양수시험은 대수층 상수 산정에 이용되기도 하나 본래의 목적은 우물 상수(Well Parameters)를 구하는 것이다. 여기서 우물상수라 함은 대수층 손실계수, 우물손실계수, 우물효율 등 우물 특성을 나타내는 상수들을 말하며 이는 우물의 적정 양수량 산정에도 관련이 된다.

 우물양수 시 우물의 수위강하량은 대수층손실과 우물손실의 합으로 나타나며 Jacob의 제안인 수위강하량 공식 Sw = BQ + CQ^2 에서 양변을 Q로 나누면

 

 

로 되어 단계별 양수량과 비수위 강하량 Sw / Q의 관계가 직선형이 된다. B는 대수층손실계수로서 다음 식으로 쓸 수 있다.

 

 

 

여기서 R은 영향반경, rw는 우물반경이다.

그러므로 그래프로 작성하여 해석하면  B는 직선이 Sw / Q 축에 만나는 절편을 읽어 구할 수 있으며 또한 직선의 기울기를 계산하여 우물손실계수 C값을 구할 수 있다.

 

 

 

※ <예시> 한계양수량 이내의 양수량과 수위 강하량 자료로부터 Q ~ Sw / Q의 관계를 보통방안지에 작도한 것이다. 여기서 B= 0.0461(day/m2), C = 2 * 10-^5Q(day/m5)를 얻을 수 있다.

 

우물 상수 해석도
우물 상수 해석도

 

 

 우물 효율(Well efficiency)은 우물의 실제 비양수량과 이론적인 비양수량의 비율로 정의된다. 이것을 단계양수시험에 의한 실무적인 공식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이상적인 우물에서는 우물손실이 0 이고 우물효율은 100% 일 수 있다. 우물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Surging 또는 Fracturing 등의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우물효율은 우물 구조 및 개발과정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고 대수층 특성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조사과정에서 우물효율 산정은 무의미하며 다만 같은 공법 같은 심도의 우물 비교에서 우물 신뢰도를 측정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 자료출처 : 지하수영향조사 실무지침, 한국농촌공사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