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강박사의 토목이야기126

풍화암층 설계지반정수 산정 참고자료 풍화암층은 모암의 심한풍화나 완전 풍화된 상태로 기존 자료와 N Value를 이용한 경험식 등을 비교, 검토하여 단위중량, 강도정수, 변형계수 및 포아송비를 산정한다.    1) 관련 문헌자료① 기존 문헌자료에 의한 풍화암층의 단위중량 및 강도정수 범위구분암반파쇄상태전단강도비고TCR(%)RQD(%)내부마찰각(도)점착력(kPa)풍화암 또는 연경암으로 파쇄가 극심한 기반암일 경우20 이하10 이하30100암반의 파쇄상태에 따른 전단강도 제안     구  분단위중량(kN/m3)점착력(kPa)내부마찰각비고사면안정학술발표회1996213035 2001203035 200319.52036사암,셰일 등2003201030편암학술발표회2003213035편마암범  위19.5 ~ 21.010.0 ~ 30.030.0 ~ 36.0.. 2024. 7. 1.
토사층 설계지반정수 산정 참고자료 1) 관련 문헌자료기존 문헌자료에 의한 일반적인 토사층의 단위중량 및 강도정수(점착력, 내부마찰각), 변형계수, 포아송비종류재료의 상태단위중량(KN/m3)내부마찰각(도)점착력(MPa)분류기호(통일분류)자갈밀실한 것, 입도양호20400GW, GP밀실치 않은 것, 입도 불량18350자갈섞인모래밀실한 것21400GW, GP밀실치 않은 것19350모래밀실한 것, 입도양호20350SW. SP밀실치 않은 것, 입도 불량18300사질토밀실한 것19300.03이하SM, SC밀실치 않은 것17250점성토굳은 것(손가락으로 강하게 눌러 조금 들어감)18250.05이하ML, CL약간 무른것(중간정도의 힘으로 들어감)17200.03이하무른 것(손가락이 쉽게 들어감17200.015이하점토 및 실트굳은 것(손가락으로 강하게 눌러.. 2024. 6. 27.
구조물 침하관리 기준 구조물의 허용침하량은 문헌자료를 참조하여 주요구조물 및 도로를 구분하여 선정하여 관리하고 관리기준을 1차,2차로 구분하여 관리하여 1차 기준을 상회할시 계측 빈도를 높이고 2차 기준을 초과시에는 공사중지 등 대책수립후 진행하는 과정을 가지는 것이 안전한 구조물 침하관리 방안이다.    1) 여러가지 구조물의 최대 허용침하량(Sowers, 1962)침하형태구조물의 종류최대 침하량전체 침하배수시설15.0 ~ 30.0cm출입구30.0 ~ 60.0cm석적 및 벽돌 구조2.5 ~ 5.0cm뼈대 구조5.0 ~ 10.0cm굴뚝, 사이로, 매트7.5 ~ 30.0cm전도탑, 굴뚝0.004s물품 적재0.01s크레인 레일0.003s부등침하빌딩의 벽돌 벽체0.0005s ~ 0.002s철강 콘크리트 뼈대 구조0.003s강 뼈대.. 2024. 6. 25.
콘크리트 내구성 조사 Image by awesomecontent on Freepik    O 콘크리트 내구성 조사 개요1) 개요콘크리트 내구성조사는 구조물에 손상을 주지 않고 콘크리트의 시공상태, 물성 및 열화정도를 조사하는 방법으로 콘크리트의 비파괴강도, 탄산화, 철근배근상태 등의 현장시험을 비파괴 시험 장비를 이용하여 조사하는 방법이다 구조물은 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하고 그 기능을 원활히 발휘하여야 하며, 역학적으로 충분한 강도와 강성을 갖는 것이 필요하고, 구조의 각 부분이 균형 잡힌 안전도를 가지며, 내구성을 갖는 것이 요구된다.  2) 적용범위① 내구성 조사를 대상으로 하는 구조물은 강 / 콘크리트 구조물에 한한다.② 내구성 조사는 구조체를 중심으로 수행한다.③ 내구성 조사는 조사시점의 열화상태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 2024. 6. 13.
비탈면 안정성 검토시 기준 안전율 및 가속도 계수 O 기준 안전율(국가건설기준-11 70 05 :2016)1) 비탈면 안전율 적용 기준일반적으로 사면의 안정성은 안전율을 근거로 판단되며, 안전율은 주어진 활동면상에 작용하는 활동력과 이에 저항하는 저항력의 비로 정의 된다. 건설공사시 비탈면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일반적인 비탈면 설계기준은 아래와 같다.구분기준 안전율참 조장기건기FS > 1.5- 지하수가 없는 것으로 해석우기FS > 1.2FS > 1.3- 연암 및 경암 등으로 구성된 암반비탈면의 경우, 인장균열 내 지하수 포화 높이나 활동면을 따라 지하수로 포화된 비탈면 높이의 ½심도까지 지하수를 위치시키고 해석을 수행하며 이 경우 FS=1.2를 적용- 토층 및 풍화암으로 구성된 비탈면의 안정해석은 지하수위를 결정하여 해석하는 방법 또는 강우의 침투를 고.. 2024. 6. 10.
국내 지진 발생 및 피해 현황 O 국내 지진발생 현황1. 지진발생현황① 역사지진을 시대적으로 살펴보면 삼국시대에는 진도 8 이상인 지진이 10여회 발생하였으며, 가장 큰 지진은 779년에 경주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집들이 무너지고 100여 명이 사망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지진은 한반도에 가장 큰 인명피해를 가져온 지진이다. 고려시대에는 진도 7의 지진이 4회 정도 발생하였으며, 조선시대에는 진도 8의 지진 9회를 포함하여 작은 지진도 많이 발생하였다고 알려져 있다.(출처 : 한반도 역사지진 기록(2012) 기상청) ② 20세기에는 쌍계사지진, 홍성지진, 포항지진, 영월지진, 경주지진 등 규모 5 정도의 지진이 내륙에서 발생하였으며, 2016년 경주에서 발생한 지진의 규모는 5.8의 역대 최대 규모로서 여진 또한 500여회 발생하였다.. 2024. 5. 23.
수송 및 부대작업 요율(한국전력공사 2012.1.2개정 시행) Image by chandlervid85 on Freepik      O 수송 요율1. 일반적용사항(1) 적용대상 : 이 운임 및 요금은 일반화물 자동차운송사업의 면허를 받고 운송하는 화물의 운임 및 요금에 적용한다. (2) 계산의 순서(가) 화물의 톤수 및 운송거리에 의한 운임의 계산(나) 할증율 및 할인율의 적용계산(다) 운임의 단수 처리(라) 대기시간 감안(마) 제요금 및 실비부담의 계산 (3) 톤수계산 : 기본요율 및 할증 품대를 포함한 중량톤 또는 용적톤 중 많은 톤수를 적용한다.(가) 중량톤 : 1,000kg을 1톤으로 한다.(나) 용적톤 : 3.571㎥를 1톤으로 한다.(다만, 목재는 480B/F를 1톤으로 한다.)(다) 단수처리 : 0.1톤 미만의 단수는 4사 5입하며, 총 톤수가 0.1톤.. 2024. 5. 22.
지반 액상화 방지 공법 비교표 O RJP 공법(Rodin Jet Pile)구 분RJP 공법공법분류초고압분사(교반)모식도보강도공법개요초고압수와 Air를 분사하여 지반을 1차 절삭하고 시멘트 밀크와 Air를 초고압으로 분사하여 지반을 2차 절삭한 후 경화재와 토립자를 직경 D2,000이상의 Soil Cement 주상체를 조성하는 공법적용지반점토층, 토사층, 사력층주입재료Cement Milk주입형태원주형의 고결체 형성장점① 다중관 롯드의 회전 인발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단면의 크기 조정 용이② 다중관내 경화재 및 몰탈 주입을 할 수 있는 별도의 주입관이 설치되어 있어 재료 변경이 쉬움단점① 슬라임이 많이 발생하므로 폐기물 처리 비용 증가② 고압분사로서 인접 지하구조물이 있는 경우 각별한 관리 필요개량체 직경D1,000 ~ 2,000보강효과.. 2024. 5. 21.
지하수 유향 유속 시험 O 시험 원리 1) 시추조사 과정에서 형성된 시추공을 이용하여 지하수의 유동 경로 및 그 거동 속도를 직접 측정하는 시험 2) 측정 센서를 시추공에 삽입 후 Main Body에서 열을 가한 후 그 열이 자연적인 지하수의 유동에 따라서 확산되는 양상을 상대 온도로 측정하여 지하수의 유향 및 유속을 측정한다. 3) 측정에 사용된 2차원 유향 / 유속계는 16방위의 변화를 관찰한다.      O 시험 방법 및 제품 사양 1) 시험 방법① Probe를 측정하고잦 하는 심도에 설치② 열입자의 이동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나침판을 이용하여 Probe를 자북에 위치ㅇ③ 삽입된 Probe가 시추공내의 수온에 안정이 되도록 기다린 후 측정을 실시④ Probe와 컴퓨터를 연결한 후 열원을 가열⑤ 유향과 유속의 변화를 1초 .. 2024. 5. 13.
원자재, 유가정보 쉽게 찾을 수 있는 곳 1) 일일경제산업동향(2024.5.7)    https://www.motie.go.kr/kor/46/inderstry 산업통상자원부산업통상자원부www.motie.go.kr    2) 원자재가격정보(2024.5.8)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 정책/정보       3) 국내유가정보(2024.5.8)   https://www.opinet.co.kr/user/main/mainView.do 싼 주유소 찾기 오피넷 www.opinet.co.kr 2024. 5.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