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박사의 토목이야기

정재하시험(PHC PILE, 강관파일)

by VanCorte 2023. 6. 27.
반응형

말뚝정재하시험

 

O 연직말뚝 재하방식 종류


구분 주변 말뚝을 사용 반력 Anchor 사용 실하중재하
개요 시험 말뚝 주변의 말뚝 반력을 이용하여 재하하는 방식 시험 말뚝 주변에 앵커를 시공하고 앵커의 반력을 이용하는 방식 시험 말뚝 주분에 견고한 받침대와 빔을 설치하고 빔위에 중량물을 적재하여 시험하는 방식
설치시간 1~2시간 1~2시간 6~8시간
설계하중에 따라 시간이 늘어남
경제성 단가가 가장 저렴 시험비용 + 반력Anchor 시공비
(고비용)
중량물을 현장에서 구하기 쉬운현장이라면 저렴
(ex, 제철소나 공장)
안전성 작업공정이 간단하고 안전 작업공정이 간단하고 안전 재하시험 중 중량물의 전도, 낙하와 지반침하로 인한 전도 가능성이 큼
(견고한 지반에서 실시)
적용성 ①말뚝의 마찰력이 충분할 때 적용
②주변 말뚝의 배치가 좌우대칭인 곳에서 시험
①말뚝의 근입심도가 짧거나 주면②마찰력이 적은 경우에 적용
③외말뚝인경우 적용
중량물을 이용하기 곤란할때 적용
①재하물을 쉽게 구할 수 있는 경우에 적용
장점 ①작업 공정이 간단하고 공기를 절약할 수 있음
②공배치가 조밀한 아파트 현장에서 많이 이용
①시험 말뚝 위치에 관계 없이 시험이 가능 ①시험 말뚝 위치에 관계 없이 시험이 가능
②가장 정확한 재하방식
단점 ①시험말뚝 배치로 인해 제한적
②반력말뚝의 주면마찰력이 부족할때 인발되어 실패할 수 있고, 실패시 기성말뚝을 재시공해야하는 단점이 있음
①비용이 매우 고가이고 반력Anchor 양생 소요기간으로 인해 후속공정에 영향을 줌
②앵커 시공이 확실치 않으면 실패할 가능성도 있음
①중량물의 전도 등의 안전상의 위험이 많음

 

반력 Anchor 재하방식

 

실하중 재하방식

 

국 가 계획최대하중
ISSMFE(국제토질기초공학회 설계하중의 2배
여유가 있으면 설계하중의 0.1배를 추가
ASTM  단항 : 설계하중의 200%
군항 : 설계하중의 150%
DIN 한계하중이 구해질때까지
FRANCE 설계하중의 1.5배 이상, 2배를 추천
SWISS 사용하중의 1.5배(지반파괴까지)
CHINA 공사용 말뚝시험 : 설계하중의 1.2 ~ 1.5배
역학적 시험 : 파괴하중
POLSKA 파괴하중(설계하중의 3배) 또는 허용하중의 2배
MEXICO 설계하중의 2배 이상
일본 토질공학회 예상되는 극한지지력 이상
설계하중 × 안전율 이상

 

 

 

 

O 연직말뚝 재하방식 종류


말뚝의 압축재하시험방법을 다음과 같이 살펴보자

항목 하중단계  재하하중유지 종료하중 재하하중 관련기준 비고
완속재하시험 8단계(설계
하중의 25%,
50%,75%,
100%,125%,
150%,175%,
200%)
말뚝머리
침하율이
시간당
0.25mm이하
(최대 2시간)
설계하중의
200%에서
침하율이 시간
0.25mm
이하12시간
0.25mm이상인
경우 24시간
유지
설계하중의
25%
단계별로
1시간씩
간격을 두어
재하
ASTM D
1143-81
KS F
2445-87
급속재하시험 각 단계의
하중이 설계
하중의
1525%
각 단계별
2.515
(보통 5) 유지
하고, 24차례
침하량 기록
극한하중 또는
허용범위까지
재하 후 2.5
15분 유지
4번 정도
나누어
5분씩 유지
하면서 재하
New York
State DOT, FHA,
ASTM D
1143-81
(optinal)
KS F
2445-87
하중증가
평형시험법
각 단계의
하중이 설계
하중의
15-25%
각 단계에서
515분 유지한
후 하중-침하량
이 평형 상태에
도할 때까지
하중 방치하여
이 단계에서
다음 단계의
하중을 재하
최종 시험하중   Mohn et al
(ASTM의 변형)
 
일정침하율
시험법
단계별로
일정 침하율
(0.25
2.5mm/min) 이 된 후
다음 단계
재하
점성토 0.25
1.25mm/min
사질토 0.75
25/min
최종 시험하중
또는 총
침하량
5075mm,
D15%
총 하중재하
재하 후
1시간 기록
ASTM D
1143-81
(optinal),
N.Y.DOT, Swedish Pile
Commission
KS F
2445-87
D는 말뚝의 직경 또는
대각선길이
일정침하율
시험법
침하량이 D
1% 정도
되는 하중을
각 단계별
하중으로
결정
소정의 침하량이
나 재하하중
변화율이 시간당
총 재하하중의
1% 미만에 이를
총 침하량이
D10%
도달할 때
4번 정도
나누어
재하하되,
각 단계의
리바운드율
D0.3%
이내가 된
후 재하
ASTM D
1143-81
(optinal)
KS F
2445-87
D는 말뚝의 직경 또는 대각선 길이
반복하중
재하
시험법
표준재하
방법과 동일
50,100,150%
하중 단계에서
1시간씩 하중을
유지시키고 나머
지 하중 단계에
서는 20분유지.
하중이 완전히
제하되면 50%
씩 단계재하하되
20분씩 유지
표준재하
방법과 동일
표준재하
방법과 동일
ASTM D
1143-81
(optinal)
KS F
2445-87
일정시간
간격
재하법
설계하중의
20%씩 재하
각 하중단계 당
1시간씩 유지
표준재하
방법과 동일
설계하중의
20%재하
하되 각
단계별
1시간씩
유지
  KS F
2445-87

위에서 설명한 시험방법 중에서 표준재하방법은 매우 긴 시간이 소요된다는 것이(보통 30내지 70 시간) 가장 큰 결점이며 또한 안전침하율(Zero settlement) 기준인 시간당 침하량 0.25mm도 환산하여보면 2.19meter/year가 되어 대단히 잘못 인식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안전침하율 기준에 따라 각 하중재하 단계에서 경과시간을 조절하는 것은 별 의미가 없으면 실제로 각 하중단계마다 동일한시간을 유지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인식 하에서 제안된 방법이 급속재하방법으로서 New York State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The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ASTM 1143-81(Optional)에 의해 권장 되고 있다.(깊은 기초, 한국지반공학회, P.278)

 

 

구 분 비 고
하중단계수 14 단계
Cycle 2 Cycle
계측시간 최초하중단계 0-1-2-3-4-5-10-15-20분
반복하중단계 0-1-2-4-5-10 이후는 다음하중단계로 올리기 직전
0 하중단계 0-1-2-3-4-5-10-15-20분
단계별 재하하중
(ton)
재하 최대하중 : 200ton
1 Cycle : 0 - 25 - 50 - 75 - 100 - 50 - 0

2 Cycle : 0 - 50 - 100 - 125 - 150 - 175 - 200 - 100 - 0
기타 ① 재하시험시 시간은 침하량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② 재하단계 및 Cycle 수는 변경될 수 있음

 

 

 

O 성과 분석


1) 항복하중 결정법

항복하중 결정법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으며 이들 결과를 종합하여 항복하중을 결정한다.

하중(P)-침하량(S)곡선법

재하중(P)와 이에 대응하는 전()침하량(S)을 일반 그래프 용지에 PlotPlot 하였을 때 곡선이 가 장 크게 변했을 때의 하중을 항복하중으로 결정한다.

그러나 이 곡선의 변곡점을 구하기가 매우 곤란할 때가 많다.

 

P - S 곡선

 

 

log P - log S 곡선법

재하중(P)와 이에 대응하는 전침하량(S)을 양대수 그래프에 Plot하면 절선이 생기는데 이 절선에 대응하는 하중을 항복하중으로 한다.

이 곡선법은 간단하므로 많이 사용된다.

 

log P - log S 곡선법

 

 

 

S - log t 곡선법

시간(t)에 따른 침하량(S)을 각 단계 하중(P)별로 반대수 그래프에 Plot하여 연결하면 각 단계 하중에 대한 S -log t 곡선중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직선상()에서 상향(上向)으로 요()형 이 되든가 또는 급절(急折)하는 하중을 구하여 이것을 항복하중으로 한다.

 

 

 

 

 

2) 극한하중 판법

파괴에 대하여 안전하도록 하는 지지력 개념의 설계에서는 파괴를 유발하는 극한지지력을 구하고 비교적 높은 2.03.0의 안전율을 적용한다. 지지력 개념의 설계는 극한 지지력의 확인에 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 개념은 우리나라 건설부 제정 구조물 기초설계 기준에도 명시되어 있다. 또한, 각종 문헌에서도 아래표와 같이 극한 지지력을 기준으로 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극한상태의 정의는 하중의 증가 없이 침하량이 무한대로 증가하는 상태이지만 대부분의 말뚝 재 하시험에서는 이와 같은 이론적인 극한지지력은 확인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인위적인 침하량에 도달하면 그때의 하중을 극한하중으로 인정하는 방법이 보다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각국의 극한하중 결정방법 내 용
일본 건축학회 기준 극한하중 또는 극한하중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는 말뚝직경의
10% 침하 시의 하중(또는 잔류침하량 기준인 경우는 말뚝
직경의 2.5%)
영국(CP 2004) 극한하중 또는 항두침하가 말뚝직경의 10% 일 때의 하중
캐나다 건축기준법 잔류침하량이 25mm 일때의 하중
미국 ASTM 하중 11ton당 침하량이 1.27mm 또는 하중 11ton
잔류침하량이 0.76mm 일 때의 하중
독일 DIN 극한하중 또는 침하량 기준
(현장타설말뚝은 총 침하량이 20mm 일때의 하중, 항타말뚝은
잔류침하량이 직경의 2.5%일 때의 하중).
상기 기준이 만족스럽지 않을 경우는 최대하중을 항복하중으로
간주
스웨덴 극한하중(P), 또는 0.9P의 침하량을 S라고 할 때, P
침하량이 2S일 경우의 하중(Hansen90% Method)

 

 

전침하량에 의한 분석법

말뚝의 극한하중이 말뚝선단의 침하량에 관련한다는 것은 주의 사항이며, 따라서 말뚝 선단의 침하량을 규정하여 이에 대응하는 하중을 극한하중으로 결정한다면, 이것은 단순하면서도 명확 한 방법이다.

그러므로, 이 방법은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극한하중에 대응하는 말뚝침하량의 규정치는 다음<4.2>와 같이 각 나라 기관 및 연구자에 따라 여러 가지 관점으로 불 일치되고 있다.

영국기초공법규격(CP. 1972및 1975), 스웨덴 규준과 Johnson and Kavangh, Capper and Cassie, Whitaker, Darid및 Tomlinsos등은 말뚝 직경의 10%에 해당하는 침하가 일어나는 하중 을 극한하중 또는 파괴하중이라고 하고 있다.

, Terzaghi and Peck (1967), Touma and Reese (1974)이 제안치의 홀란드 및 New York 시 규준은 25.4mm 침하 시의 하중을 극한하중으로 정하고 있다.

기준명 또는 제안자 Su(mm) 허용지지력을 구할때의 안전율 비고
독일 DIN 4014 20    
프랑스 20    
벨기에 20    
체코슬로바키아 15~20 2  
오스트리아 25    
네덜란드 25.4    
뉴욕시 기준 25.4    
인도 IS 2911기준 12 1.5  
Muns 20    
Tezaghi and Peck(1967) 25.4 1.5  
WoodWard(1972) 12.7 ~ 25.4 1.5~2  
Touma and Reese(1974) 25.4    
중국 협서성 도로연구소(1973) 60   대구경 현장타설말뚝
중국 도로연구원(1976) 40   대구경 현장타설말뚝
중국 북경시 말뚝기초연구소 15~20 2 소구경 현장타설말뚝
일본 구건축학회 기준 25(항복하중) 2 현장 타설말뚝
일본 토질공학회(1971) 25(항복하중) 2  
Johnson(1973) < 0.1D    
영국 기초공업 기준(1975) < 0.1D    
Capper and Cassie < 0.1D    
Darid < 0.1D    
Tomlinson < 0.1D    
Whitaker < 0.1D    
특기사항 D는 말뚝의 직경임

 

잔류침하량에 의한 분석법

말뚝의 길이가 길고, 재하하중이 큰 경우 지반 및 말뚝본체의 탄성적인 변형 중에는 특히 말뚝의 탄성변형이 차지하는 비율이 크다.

이러한, 탄성변형량을 포함하는 전침하에서 극한하중을 구한다는 것은 문제가 있으므로 전침하 량에서 탄성변형량을 뺀 잔류침하 즉, 소성침하에 의하여 극한하중을 판정하는 방법이다.

R.D.Chellis는 하중-잔류침하 변형곡선에서 급변하는 점의 하중을 극한하중이라고 판정하고 있으며,, 미국의 통일시공규준과 New York시 시공규준에서는 하중 ton당 잔류침하(Sr)0.254mm Sr/P0.254mm로 되는 하중을 극한하중으로 판정하고 있다.

 

기준명 또는 제안자 Su(mm) 허용지지력을
구할때의 안전율
비고
독일 DIN 4026 규준 D의 2.5%   타입말뚝
미국 D의 2.0%    
일본 건축기초구조 설계기준 D의 2.5% 3 타입말뚝
덴마크기초실용기준(DS-415-1965) D의 1.0%    
미국 도로설계기준(1958) 6.3    
미국 AASHITO 기준 6.3    
미국 루이지아나 도로국 6.3 2  
미국 보스톤 건축기준 12.7 2  
인도 IS 2911 기준 6 1.5  
캐나다 건축기준(1960) 25    
파리 Veritas 사무소(1964) 20 2  
Mahnel(1948) 8    
Mansur and Kaufman 6.3    
WoodWard(1972) 12.7 1.5  
비 고 D는 말뚝의 직경임

 

3) 허용지지력의 결정

일반적으로 허용지지력은 설계자가 하중조건, 침하조건, 현지조건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결 정하는바 재하시험 결과에 의해서 허용지지력을 구할 때는 다음 각 조항에 만족하는 최소값을 택 하게 된다.

 

항복하중의 1/2 이하

극한하중의 1/3 이하

상부구조물에 따라 정한 허용침하량에 상당하는 하중이하

침하량에 의해 구한 하중 1/2 이하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