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박사의 건설안전

용접 작업시 위험성 및 안전대책

by VanCorte 2023. 2. 17.
반응형

용접작업시 보호구 착용
용접작업시에는 개인보호구 착용이 중요하다.

 

 

 

 

O 용접작업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인


(1) 충전부,노출부 접촉에 의한 감전(직접접촉)

(2) 전기기계기구 등 누전에 의한 감전(간접접촉)

(3) 용접시 발생하는 불티에 의한 화상 위험

(4) 용접 흄, 유해가스, 유해광선, 소음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건강 장해

(5) 불티에 의한 화재 및 폭발사고

(6) 불안정한 자세 및 고소작업 등에 의한 추락 및 협착하고

(7) 용접자세로 인한 근골격계 질환

 

일반적으로 용접작업에 대한 위험성평가를 실시할 때 위 내용을 중심으로 위험성을 도출해 나간다. 

 

 

 

 

O 감전재해 위험요소 및 예방대책


(1) 용접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

① 용접봉 끝부분 및 용접봉 피복 손상부

② 용접 홀더 파손 및 홀더선 피복손상

③ 용접기 및 분전반 충전부 및 노출부

용접봉 끝부분 감전 주의
용접봉 끝부분 감전 주의

 

 

 

충전부, 노출부 방호조치 및 접지 확인
충전부, 노출부 방호조치 및 접지 확인

 

 

충전부, 노출부 방호조치 및 접지 확인
전기기계기구 및 분전함 접지 확인

 

(2) 용접작업 감전재해 예방

용접작업 중 용접봉 끝부분 등 충전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특히 유의

② 파손된 용접홀더는 신품으로 교체하여 사용

③ 피복이 손상된 용접 홀더 전선은 절연 테이프로 수리 후 사용하고 손상이 심할 경우는 신품으로 교체

④ 본체와의 연결부는 절연 테이프로 감아서 감전 재해 예방

⑤ 교류 아크 용접기는 자동 전격방지기를 검정 합격품으로 설치 후 사용

 

 

 

 

 

 

O 화상 등 건강장해 위험요소 및 안전대책


(1) 용접작업시 화상 위험

용접작업 중 스패터가 튀거나 용접 후 슬러그 해머로 슬러그를 떼어내는 작업 중 뜨거운 슬러그 파편이 날아 피부에 접촉되면 화상을 입을 수 있고 역시 용접부 및 그 부근의 모재에 직접 접촉되는 경우 화상을 입는다. 또한 스패터가 튀어 의복 등에 불이 붙어 화상을 입는 경우도 있다.

 

② 산소절단을 위해 화구에 불을 붙이는 순간 화염이 뻗치면서 화상을 입을 수 있고 착화 취관의 조정을 잘못하여 손이 흔들려서 또는 취관으로부터 새로 나온 아세틸렌에 작업 중 착화해서 화상을 입을 수 있다.

 

③ 레이저 광선이 피부에 조사되면 그것의 강한 에너지로 인해 피부에 상해를 입게 되는데 조사되는 에너지의 밀도에 따라 경미한 화상으로부터 탄화에 도달할 정도의 심한 화상이 발생된다. 광 파장으로부터 피부에 흡수되는 깊이에 따라 다른데 파장이 750nm인 것이 침투하여 흡수된다. 그밖에 사람의 피부색에 따라 빛의 반사율이 다른데 백색의 피부보다 유색의 피부 쪽이 반사율이 낮으며 흡수율도 높다. 금속가공용으로 사용하는 레이저의 출력도 상당히 높으므로 피부에 적중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를 요한다.

 

(2) 용접시 화상 방지 대책

① 차광도를 가진 보호 안경 및 보안면을 착용하여 Spatter 및 Slug 조각이 눈으로 튀어 들어오는 것을 방지

② 안전보호구를 착용하여 손부위의 화상 및 옷 틈사이로 용접불티가 날아드는 것을 방지(용접장갑, 용접복 착용)

③ 용접치마를 착용하여 작업자의 가슴부터 무릎까지 보호

④ 화재감시자 배치하여 작업자의 옷이나 주변 인화성물질에 불티가 옮겨 붙을 수 있는지 확인

 

용접 보호구
용접 보호구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241조2(화재감시자)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 화재감시자.hwp
0.16MB

 

 

 

 

(3) 용접흄, 유해가스, 유해광선 등에 의한 건강장해

① 용접흄이란 용접 시 열에 의해 증발된 물질이 냉각되어 생기는 미세한 소립자를 말한다. 용접 흄은 고온의 아크 발생열에 의해 용융금속 증기가 주위에 확산됨으로써 발생된다. 피복 아크용접에 있어서의 흄 발생량과 용접전류의 관계는 전류나 전압이 클수록 그리고 용접봉 지름이 클수록 발생량이 증가한다. 또한 피복재 종류에 따라서 라임 티타니야계에서는 낮고, 라임 알루미나이트계에서는 높다. 그 외 발생량에 관해서는 용접토치의 경사각도가 크고 아크길이가 길수록 흄 발생량도 증가된다.

 

② 유해가스의 종류는 오존, 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불화수소, 포스겐, 포스핀, 도료나 피막성분의 열분해에 의한 생성물 등은 다양한 종류가 있다.

 

③ 용접 시 발생하는 유해광선은 눈에 『전광성 안염』이라 불리는 급성각막 표층염을 일으키며 이 안염은 대부분 폭로된 수 시간이 경과한 후 발생한다. 폭로가 심한 경우 각막표층박리, 궤양, 백색혼탁, 출혈, 수포형성이 될 수 있는데 특히 백내장, 망박황반변성이라는 눈에 치명적인 질환을 가져올 수도 있다. 강한 가시광선은 눈의 피로를 가져오며 자외선에 의해서 생기는 각막과 결막에 대한 급성염증증상은 용접 근로자 자신이 느끼는 증상에 의해 쉽게 발견될 수 있다. 적외선에 의해서는 열성 백내장이 발생할 수 있는데 적외선에 의한 눈의 이상은 늦게 나타나므로 제때 발견하기가 어렵다. 또한 자외선과 방사선은 피부를 붉게 하고 살갗을 태우며 피부의 화상을 유발할 수 있다.

용접흄
용접흄/유해가스/유해광선

 

(4) 용접흄, 유해가스, 유해광선 등에 의한 건강장해 보호 대책

① 국소배기장치 설치

- 후드는 작업방법, 분진의 발산상황 등을 고려하여 분진을 흡입하기에 적당한 형식과 크기를 선택하여야 한다.

- 닥트는 가능한 길이가 짧고 굴곡의 수가 적으며 적당한 부위에 청소구를 설치하여 청소하기 쉬운 구조로 하여야 한다.

- 배풍기는 공기정화 장치를 거친 공기가 통과하는 위치에 설치하며, 흡인된 분진에 의한 폭발의 우려가 없고 배풍기의 부식 또는 마모의 우려가 적을 때에는 공기 정화장치 앞으로 설치할 수 있다

- 배기구는 옥외에 설치하여야 하며, 이동식 국소배기장치의 경우 공기정화장치를 부설한 경우에는 옥외에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② 전체 환기장치 설치

- 필요 환기량(작업장 환기 횟수 : 15~20회/시간)을 충족시킬

- 후드는 오염원에 근접시킬 것

- 유입공기가 오염장소를 통과하도록 위치를 선정할 것

- 유입공기는 청정 공기를 공급할 것

 - 기류가 편심하지 않도록 급기할 것

 - 염원 주위에 다른 공정이 있으면 공기 배출량을 공급량 보다 크게 하고, 주위공정이 없을 시에는 청정 공기 급기량을 배출량 보다 크게 할 것

 - 배출된 공기가 재 유입되지 않도록 배출구 위치를 선정

 - 난방 및 냉방, 창문 등의 영향을 충분히 고려해서 설치

 - 방진 마스크, 송기 마스크를 활용

 

<참조>

2023.01.31 - [강박사의 건설안전] - 밀폐공간 작업관리 및 재해예방

 

밀폐공간 작업관리 및 재해예방

1. 밀폐공간 용어 정의 산업 안전 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산소 결핍, 유해 가스로 인한 화재ㆍ폭발 등의 위험이 있는 장소 출입구 크기가 근로자의 몸이 들어갈 정도이고 일을 할 수 있는

bacherd81.tistory.com

 

 

③ 유해광선 차광 보안경 및 용접 보안면 착용

보안경 및 보안면
보안경 및 보안면

 

 

 

O 불티에 의한 화재 및 폭발 위험


(1)  용접용단 시 발생하는 수천℃의 고온과 불티는 인접한 위험물질에 직접적인 점화원을 제공하며 화재폭발의 대형 사고로 발전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작업 안전에 유념해야 한다.

(2) 용접용단 시 불티의 특성

  ① 작업 시 수 천 개가 발생․비산 됨

  용융금속의 점적은 작업장소의 높이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최대 11m 정도까지 흩어짐

  ③ 축열에 의하여 상당시간 경과 후, 불꽃이 발생되어 화재를 일으키는 경향이 있음

  ④절단 작업 시 비산 되는 불티는 3,000℃ 이상의 고온체

  ⑤ 산소의 압력, 절단속도, 절단기의 종류 및 방향, 풍속 등에 따라 불티의 양과 크기가 달라짐

  ⑥ 발화원이 될 수 있는 불티의 크기는 직경이 0.2~3㎜ 정도임

용접불티의 비산거리
용접불티의 비산거리

(3)화재, 폭발 예방 대책

화기작업 허가서

- 실질적으로 화기작업 승인이 난 위치를 확인하여 도장작업 외 인화성 물질 취급 작업을 지양한다.

② 화재 감시자 배치

 - 화기작업 완료시까지 상주

③ 소화물품 배치(불티방지포,소화기,물통,건조사 등)

④ 인화성, 가연성 물질 이격 보관(도장 작업 장소에서는 동시작업 절대금지)

 

소화자재 보관함
소화자재 보관함

 

 

반응형

댓글